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2024-06-04 (화)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뉴스 포커스 - News Focus


시애틀 대표 한인 뉴스넷!
시애틀N 에서는 오늘 알아야 할 한국과 미국 그리고 세계 주요 뉴스만 골라 분석과 곁들여 제공합니다.

 
작성일 : 18-06-22 22:17
'풍운아' 김종필 떠나다…선 굵고 다사다난했던 '영원한 2인자'
 글쓴이 : 시애틀N
조회 : 2,470  

[김종필이 걸어온 길]
'3김시대' 이끌었지만…대통령 자리엔 오르지 못해



향년 92세로 23일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우리 현대 정치사를 관통하는 '풍운아'로 불린다. 


고(故)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3김시대'를 이끈 지도자였으나 대통령 자리에 오르지 못한 영원한 2인자였다. 

김 전 총리는 1926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 사범대를 거쳐 1952년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입교해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는 졸업 후 소수정예의 핵심 부서인 육군 정보국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여기서 정보국 상황실장이었던 박정희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는다.

박 전 대통령의 큰형인 박상희의 딸 박영옥과 결혼, '박씨 일가'와 친족이 됐다. 김 전 총리가 정치 전면에 등장한 계기는 1961년 5·16 군사정변(쿠데타)이다.

김 전 총리는 나중에 정변을 자신이 박 전 대통령에게 제안했다고 술회했다. 그만큼 정변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 것이다.

5·16 후에는 박 전 대통령에게 정보기관 설립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중앙정보부. 김 전 총리는 초대 수장(중앙정보부장)을 지냈다. 

'오히라 메모'로 유명한 한일 청구권 협상을 중정부장으로서 막후에서 진행했다. 그러다 1963년 민주공화당 창당 과정에서 정치자금 사건이 드러나며 중정부장에서 물러났다.

김 전 총리는 중정부장 퇴임 후 한 때 외유 생활을 했다. 군사정권 권력 암투 과정에서 다른 세력에게 견제를 당해 외유를 떠나면서 "자의반 타의반"이라고 한 발언이 유명하다.

김 전 총리는 그러다 1963년 제6대 국회 공화당 의원으로 등원한다. 같은해 10월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당선하고 11월 6대 총선에서 공화당은 의원 110명을 배출하는 대승을 거두면서 제3공화국이 출범했다.

김 전 총리는 6대 국회에서 공화당 의장까지 지내고 1967년 7대 국회의원에 당선됐으나 68년 다시 반대세력에게 밀려 정계를 은퇴하고 다시 해외로 나갔다.

다시 귀국해 1970년 공화당 총재 수석상임고문, 71년~73년 공화당 부총재를 거쳐 71년 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71년부터 75년까지는 박 전 대통령에게 국무총리로 발탁됐고, 그 사이 9대 국회의원(73년)을 겸했다. 실세 총리였던 그는 75년 국무총리를 '건강상' 이유로 사임했다.

박 전 대통령이 사망한 79년 10·26 사건 후 김 전 총리는 공화당 총재가 됐지만 12·12 군사반란으로 정권을 잡은 신군부로부터 80년 정치활동을 금지당한다. 

당시 부정축재자로 지목돼 강제로 재산을 환수당한 뒤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또 다시 미국에서 은둔생활을 했다. 미국에서 신군부에게 고문을 당했다는 일설도 있지만 김 전 총리는 생전에 이를 부인했다.

김 전 총리는 귀국 후 기존 민주공화당을 '신민주공화당'으로 재건했고, 87년 공화당 총재로 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3일 향년 92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1990년 1월 한자리에 모인 김대중(왼쪽부터), 김종필, 노태우, 김영삼. (운정김종필기념사업회 김종필 화보집) 2015.11.23/뉴스1

88년 치러진 총선에서 김 전 총리의 신민주공화당은 원내 4당(35석)이 됐다. 공화당은 이듬해인 89년 노태우·김영삼 전 대통령의 '민주자유당'을 합친다. 그 유명한 3당 합당이다.

민자당 소속으로 14대 대선에서 김영삼 대통령이 당선됐다. YS 정권 초기 김 전 총리는 당 대표까지 지냈으나 민주계 측과의 갈등과 의원내각제 개헌 등을 둘러싼 갈등 끝에 95년 탈당했다.

그리고 만든 당이 충청권 중심의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이다. 김 전 총리가 총재로서 이끈 자민련은 96년 15대 총선에서 50석(지역구 41, 전국구 9)을 얻으며 원내 3당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김 전 총리는 15대 총선에서는 내각제 개헌을 조건으로 김대중 대통령과 연합했다. 이 'DJP연합' 성공으로 김 전 총리는 김대중 정부에서 국무총리에 올랐다.

하지만 내각제 개헌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는 등 역시 갈등 끝에 2000년 16대 총선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새천년민주당과 김 전 총리의 자민련은 연합하지 않았다.

결국 충청권 기반인 자민련은 충청 이외 지역에서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의석을 빼앗기면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다. 

그와 손을 잡은 대선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되는 '킹메이커' 김 전 총리는 2002년 16대 대선 때는 한나라당 이회창, 민주당 노무현 후보 그 누구도 지지하지 않았다.

이때까지 9선 국회의원과 2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 전 총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역풍 정국 여파로 2004년 정계를 은퇴했다.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 자민련은 노 전 대통령 탄핵을 가결시켰고 그 역풍으로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대패했다. 김 전 총리의 자민련은 지역 기반인 충남에서만 4명이 당선되고 비례대표는 단 한석도 얻지 못했다. 

비례대표 후보로 10선을 노리던 김 전 총리는 그러면서 40년 넘는 제도권 정치인생을 마감하고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3일 향년 92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015년 5월14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운정 김종필-한국 현대사의 증인 JP 화보집' 출판기념회에서 안경을 고쳐쓰며 생각에 잠겨 있다.(뉴스1DB)2018.6.23/뉴스1

정계 은퇴 후 김 전 총리는 별다른 외부 활동을 하지 않고 원로로서 막후에서 다소의 영향력을 미쳤다.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에 대해 "최태민 목사와의 사생아가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져 큰 논란에 휩싸인 일이 있다.

김 전 총리는 2015년 부인인 박영옥 여사를 먼저 떠나보냈다. 생전 잉꼬부부로 자자했던 김 전 총리는 당시 "국립묘지가 아닌 마누라와 같은 자리에 눕겠다"고 말했다.

당시 박 여사 빈소에 발걸음한 수많은 후배 정치인들에게 김 전 총리는 "정치는 허업"이라는 명언을 남겼다. 

특히 2015년부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대선주자로 부상하자 반 총장과 긴밀하게 접촉, 대선 국면에서 또 한번의 '킹메이커'를 자임하면서 노(老) 정치인으로서 마지막 역할을 자청했었다.

김 전 총리는 이때까지만 해도 뇌졸중을 앓고 있지만 휠체어를 타고 외부 활동을 할 만큼 비교적 건강했던 김 전 총리는 23일 끝내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정치 스타일은 선이 굵고 다사다난한 '풍운아'였지만 예인(藝人)이라고 불릴 말큼 예술 분야에 조예가 깊고 풍류를 좋아하는 어른이었다고 주변 사람들은 회고하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Total 22,810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410 미 사법부 트럼프에 날개 달아주다…'反이민의 나라' 되나 시애틀N 2018-06-27 1704
13409 청와대 '文 모두발언 못외우나' 칼럼에 정면반박 시애틀N 2018-06-27 1842
13408 [시나쿨파]트럼프의 자살골, 그래도 좋다는 미국인들 시애틀N 2018-06-27 2396
13407 '고래고기 불법유통 조장' 혐의 검사출신 변호사 사전구속영장 시애틀N 2018-06-27 2398
13406 '심폐소생술'하는 경찰견 모습에 누리꾼들 '심쿵'(+동영상) 시애틀N 2018-06-27 3591
13405 조선 개국 일등공신에게 내린 이성계 교서 국보 지정 시애틀N 2018-06-27 2254
13404 검찰, 경찰청 정보분실 압수수색…삼성 노조와해 뒷돈 의혹 시애틀N 2018-06-27 1863
13403 美, 이란산 석유 수입못하게 동맹국 압박…유가급등 시애틀N 2018-06-27 2068
13402 70대 한인이 소방관 총격 살해 시애틀N 2018-06-26 2596
13401 靑경제수석 윤종원·일자리 정태호·시민사회 이용선 시애틀N 2018-06-26 2460
13400 [4세경영 시동]LG그룹, 마흔살 '구광모'의 첫걸음 시애틀N 2018-06-26 2471
13399 [월드컵] VAR은 유럽 편? 아시아·아프리카는 억울해 시애틀N 2018-06-26 2397
13398 대한·아시아나 여객기 접촉 사고…사고책임 '갑론을박' 시애틀N 2018-06-26 2499
13397 이재명 측 “김부선·김영환 검찰에 고발” 시애틀N 2018-06-26 2781
13396 화성시 한 아파트 300여세대 혹파리떼로 '고통' …주방서 출몰 시애틀N 2018-06-26 2677
13395 트럼프 대통령 생일파티서 울려퍼진 '북한 국가' 시애틀N 2018-06-26 2505
13394 文대통령, JP 빈소 안간다…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시애틀N 2018-06-25 3181
13393 강진 여고생 살인, '아빠 친구'가 범인?…정황만 있다 시애틀N 2018-06-25 2742
13392 '확 달라진' 北신문 6·25 보도…사라진 반미구호 시애틀N 2018-06-25 2803
13391 이산상봉 1차 후보자 500명 선정…경쟁률 '568대1' 시애틀N 2018-06-25 2165
13390 '국민생선' 명태·꽁치 밥상서 사라진다…어획량 '급감' 시애틀N 2018-06-25 2725
13389 1분기 전자결제로 하루에 5815억원 긁어…사상 최대 시애틀N 2018-06-25 2190
13388 [펫카드] 북극곰 '통키' 한국에서 마지막 여름나기 시애틀N 2018-06-25 3158
13387 트럼프 "불법이민자는 침략자…재판없이 쫓아내야" 시애틀N 2018-06-25 2166
13386 울산 '80대할머니 암매장' 유력 용의자 이웃주민 자살 시애틀N 2018-06-25 3038
13385 "강진 여고생 시신 발견장소, 용의자와 연고가 있는 곳" 시애틀N 2018-06-24 3138
13384 [월드컵] 한국 '16강 실낱희망' 살아났다, 독일 2골 차 이상 꺾어야 시애틀N 2018-06-24 2876
13383 [월드컵] 탈락과 1% 가능성은 천지차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 시애틀N 2018-06-24 2902
13382 삼성전자, '7분기'만에 영업이익 감소할 듯…'갤S9' 판매 부진 시애틀N 2018-06-24 3025
13381 정부, JP에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가닥…시점 검토 시애틀N 2018-06-24 2791
13380 드디어 사우디 여성 운전…"자유로운 새가 된 기분" 시애틀N 2018-06-24 3121
13379 [변비건강]배변 1주일에 2회이하…무리한 다이어트 원인 시애틀N 2018-06-24 3163
13378 文대통령, 눈물 흘리는 손흥민 위로…라커룸 찾아 선수단 격려 시애틀N 2018-06-24 2801
13377 한국 멕시코에 2-1 패배했다 시애틀N 2018-06-23 3207
13376 '영원한 2인자' 였지만…승부사 JP, 빛났던 기억의 장면들 시애틀N 2018-06-23 3177
13375 "많은 물음에 웃기만 하던 자"…JP 생전 써놓은 묘비글 재조명 시애틀N 2018-06-23 2882
13374 [화보] 김종필 전 국무총리 별세...향년 92세 시애틀N 2018-06-23 3397
13373 동교동·상도동 이어 'JP 청구동 자택'도 역사속으로 시애틀N 2018-06-23 3030
13372 JP 유족은…'역경의 정치생활 동반자' 故박영옥 여사와 1남1녀 시애틀N 2018-06-23 3102
13371 한국당 계파갈등, 전면전 확산되나… 주말 '폭풍전야' 시애틀N 2018-06-23 2856
13370 백악관 "北 대형실험장 4곳 파괴는 풍계리 갱도 의미" 시애틀N 2018-06-23 2870
13369 OPEC, 올 7월부터 일평균 100만배럴 증산에 합의 시애틀N 2018-06-23 2499
13368 첨단수사 경력 검사들 드루킹특검 합류…"강제수사 27일 이후" 시애틀N 2018-06-23 3086
13367 [월드컵] 또 침묵한 VAR? 스위스-세르비아전 오심 논란 시애틀N 2018-06-23 3042
13366 '풍운아' 김종필 전 총리 별세…'3김' 역사의 뒤안길로 시애틀N 2018-06-22 2737
13365 '풍운아' 김종필 떠나다…선 굵고 다사다난했던 '영원한 2인자�… 시애틀N 2018-06-22 2472
13364 평화당 "국가의 '큰 어른' 김종필 전 총리 별세에 애도" 시애틀N 2018-06-22 2392
13363 홍준표 "JP, 정치현장의 로맨티스트…큰어른 잃었다" 시애틀N 2018-06-22 2170
13362 [연보] '3김(金)시대' 이끈 김종필 전 국무총리 생애 시애틀N 2018-06-22 2102
13361 [월드컵] '네이마르 득점' 브라질, 첫 승 신고…스위스는 첫 역전승 시애틀N 2018-06-22 2172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영상] 사하라 사막이 '설국'으로... 중동 사막에…
문대통령 "윤석열, 文정부 검찰총장…정치할 생각으로 …
[이재용 선고]당분간 '옥중경영'…모든 현안 '…
文대통령 "부동산 안정화 성공 못해…특단 공급대책 마…
25억짜리 2채 보유?…올해 보유세 5800만원 늘어난다
문대통령 "사면 말할 때 아냐…국민 공감대 형성되면 고…
서울아파트, 실거래가 내렸다?…전문가들 "좀 더 두고 봐…
한국 이례적 '릴레이 폭설' 왜…"기후변화로 봉인…
中 코로나 속 나홀로 성장…증시도 상승세
“주식은 사고 파는 것 아닌 사 모으는 것…존버하라”
"日 '도쿄올림픽 2024년으로 재연기' 극비 논의"
'부르는 게 값?'…호가에 오르는 서울 아파트 시…
문 대통령, 이재명 전도민 재난지원금에 "할 수 있는 일"…
김진욱 후보자 "공수처 검사, 주식거래 제한 적극 검토"
강창일 "이용수 할머니, 일본이 사죄하면 소송 취하"
"학교 살려주세요"…'공공기관 건물주' 외교협회 …
'국정농단' 이재용, 파기환송심 징역 2년6월…법…
공짜‧돈내기 골프로 머리숙인 알펜시아 대표 "물의 일…
재미교포 케빈 나, PGA투어 소니오픈 역전 우승…통산 5승…
이재명 '2차 재난기본소득' 18일 발표…논란에도 …


시애틀 뉴스

줄리아니 "이번엔 트럼프 탄핵…

웬만하면 병원가지 마세요……

"지난해 2.3% 성장한 중국 올해…

"트럼프 정보기관 브리핑 못 …

[바이든 취임식 D-2] 인상적이…

'미국판 안아키' 비극…

다인종·다문화·다종교…해리…

페더럴웨이한인회 신임 이사…


연예 뉴스

'컴백' 에픽하이 "비아…

이정수, 층간소음 사과하고 이…

[N현장] '세자매' 감독 "…

'미라' 신동 "9년째 뮤…

십센치X'바른연애 길잡이&#…

TV조선, MBN에 "트로트 프로그램…

CJ문화재단, 2021 스토리업 단편…

존박, 코로나19 확진 후 시설 …




  About US I 사용자 이용 약관 I 개인 정보 보호 정책 I 광고 및 제휴 문의 I Contact Us

시애틀N

16825 48th Ave W #215 Lynnwood, WA 98037
TEL : 425-582-9795
Website : www.seattlen.com | E-mail : info@seattlen.com

COPYRIGHT © www.seattlen.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