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2024-06-27 (목)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작성일 : 14-12-13 12:14
[시애틀 문학-김윤선 수필가] 막돌
 글쓴이 : 시애틀N
조회 : 3,864  

김윤선 수필가

 
막돌
 
 
그녀가 화병에 물갈이 하는 걸 보고 집에 돌아온 후, 나는 곧바로 마당으로 나갔다.
그러잖아도 제 몸을 늘 화병에 비스듬히 기대고 서있는 대나무 분재가 마음에 걸렸는데 그런 사소한 비결이 있었다니, 공연히 마음이 설레고 바빠졌다.

울타리 옆으로 잔돌이 꽤 드러나 있다. 막돌이다. 어미의 품에라도 파고든 듯 소복이 모여 있는 게 여간 앙증맞지 않다. 아니, 막 부화된 새끼 연어들처럼 옹기종기 고개를 내밀고 있다. 주섬주섬 흙을 걷어내고 열댓 개의 잔돌을 거뒀다.

열 손가락 크기가 다 다르듯 한 마당에서 주웠어도 크기와 색깔이 제각각이다. 검정색이 있는가 하면 황색을 띤 것도 있고, 고운 결을 가진 것도 있다. 모서리가 뾰족하니 각진 것도 있고, 동글동글 닳아서 매끄러운 촉감의 것들도 있는 게 그간의 삶에 대한 제 나름의 고집으로 보인다. 소금물에 담가두면 색상이 더욱 선명해진다는 친구의 말이 생각나서 잠시 그것들을 양푼에 담갔다.

고만고만한 것들이 옹송그리고 있는 게 꼭 여학교 교실을 들여다보는 듯하다. 아무렴, 어찌 재잘거림이 없을까. 계곡에서 물에 쓸려 내려온 것만 삶의 얘기를 지니고 있는 게 아니다. 수백 년 아니, 수천 년일지도 모를 세월을 땅속에서만 살아온 저들의 얘기는 또 어쩌랴. 지각을 변동할 만큼의 뜨거운 지열과 비바람을 맨몸으로 맞아온 저들의 애환, 바위덩이에서부터 이처럼 작은 돌멩이가 될 때까지의 고통, 저들의 재잘거림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그녀의 집에서 본대로 화병에 대나무 분재를 세우고 헹궈낸 잔돌들을 뿌리 위에 얹은 후 물을 부었다. 잔돌들이 뿌리를 지그시 눌러 대나무의 허리를 곧추 세우자 푸른 이파리마저 목을 세워서 놈의 기개가 그럴 듯해 보인다. 잔돌의 힘이다.

수석에 별다른 안목이 있었던 건 아니지만 물가에 가면 독특한 놈이 있나 하며 눈을 밝히던 때가 있었다. 그 때문에 시답잖은 돌멩이들이 제 살던 곳을 떠나 내 책상에 모이면서 꽤나 많은 얘기를 들려주었다. 언젠가 영월에 사는 집안 동생에게서 꼭 물개를 닮은 돌 하나를 얻어왔던 적이 있다

언제 보아도 촉촉하니 물기가 느껴졌는데, 막 어미 품을 벗어나, , 이제 독립했어! 하듯 고개를 쳐들고 있던 자태, 길을 잃어 잘못 찾아 들었다는 것도 모르는 놈이었다. 놈은 오랫동안 내 눈을 놓지 않았다.

가지고 있으면 돈이 들어온다던 흰색 돌도 있었고, 제매가 리비아에서 선물로 가져다 준 새를 닮은 날렵한 모양새의 돌도 있었고, 자잘한 꽃무늬가 마치 화석처럼 새겨져 있는 돌멩이도 있었다. 나무가 변질돼 돌로 변한 놈도 있었다

그러나 나름대로 의미를 주어서 그렇지, 본질은 다 돌멩이 아니겠는가. 그래서인지 놈들은 미국 오는 내 이삿짐에 속하지 못했다. 친구에게, 형제에게 나누어 주었지만 대부분이 땅으로 되돌아갔다. 그저 그런 모양새니 그저 그런 삶을 사는 막돌로 돌아갔으리라.

어릴 적, 고향마을엔 돌담이 많았다. 울퉁불퉁한 막돌들이 반쯤은 집안으로, 반쯤은 집밖으로 얼굴을 내민 채 동네 안팎의 소식을 전해주었다. 서툰 아이의 그림마냥 보기에만도 웃음이 나는 후덕한 얼굴들이어서 절로 순박한 고향 인심을 느끼게 했다. 특출하지도, 모나지도 않은 그저 그런 얼굴들, 막돌이 주는 편안함이다.

막돌의 쓰임이 이뿐일까. 잘게 으깨서 시멘트와 함께 섞어 건물의 단단함을 다지거나, 길을 포장하는 밑거름도 막돌의 임무다. 돌창이나 돌칼의 재료가 된 것도 막돌이며, 남근이니 여근이니 하는 돌도 따지고 보면 막돌의 기이한 형상일 뿐이다. 운주사의 천불상, 마이산의 돌탑 또한 막돌이 주는 힘 아니겠는가. 그러고 보면 구태여 쓰임을 가리지 않아도 제 몫을 지니는 게 꼭 사람 사는 세상을 닮았다. 아기의 첫 생일을 이르는 돌도 막돌의 의미를 담은 게 아닌지.

로제타 스톤이 아니어도 세상의 돌엔 유물이 많다. 어쩜 그건 우둔하나 심지가 굳은 사람이 세상의 믿음을 오래 지닌다는 걸 말하는 게 아닐까. 그러고 보면 머리가 아둔한 사람을 돌에 빗대는 건 실은 약삭빠른 인간들의 이기심이 아닐는지. 턱없이 정직한 돌, 돌은 깨질망정 휘어질 줄 모른다.

막돌이고 싶다


<시애틀지역에서 활동하는 문인들의 작품을 보려면 아래를 클릭>


 
 

Total 696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6 [이춘혜 시인의 신앙시] 바람 시애틀N 2015-01-11 2821
215 [시애틀 문학-정동순 수필가] 쉰 고개 (2) 시애틀N 2015-01-19 4205
214 [시애틀 문학-공순해 수필가] 수군수군 살기 시애틀N 2015-01-04 5724
213 [시애틀문학-윤명숙시인] 왕중의 왕 어린 양 시애틀N 2015-01-12 3211
212 시애틀 문인(회복의 은총) 주은혜 2015-02-02 3191
211 [시애틀 문학-김학인 수필가] 나의 밀실 유희 (1) 시애틀N 2014-12-27 4815
210 [해설과 함께 하는 서북미 좋은 시-이은숙] 겨… 시애틀N 2014-12-27 4046
209 [김영호 시인의 아메리카 천국] 머킬티오 크… 시애틀N 2014-12-20 3959
208 [시애틀 문학-안문자 수필가] 크리스마스 선… 시애틀N 2014-12-20 5191
207 [이춘혜 시인의 신앙시] 나는 질그릇 시애틀N 2014-12-14 3398
206 [해설과 함께 하는 서북미 좋은 시-조영철] 해… 시애틀N 2014-12-13 3023
205 [시애틀 문학-김윤선 수필가] 막돌 시애틀N 2014-12-13 3866
204 시애틀 여성시인 시집과 동시집 동시 출간해 … 시애틀N 2014-12-07 5020
203 [해설과 함께 하는 서북미 좋은 시-이창근] 빈… 시애틀N 2014-12-06 7937
202 [시애틀 문학-이 에스더 수필가] 겨울나기 시애틀N 2014-12-06 8244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About US I 사용자 이용 약관 I 개인 정보 보호 정책 I 광고 및 제휴 문의 I Contact Us

시애틀N

16825 48th Ave W #215 Lynnwood, WA 98037
TEL : 425-582-9795
Website : www.seattlen.com | E-mail : info@seattlen.com

COPYRIGHT © www.seattlen.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