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2024-06-26 (수)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작성일 : 13-10-04 23:17
[수필]꿈으로 칠해진 벽화-공순해
 글쓴이 : 시애틀N
조회 : 3,308  

공순해 수필가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 지부 회원



꿈으로 칠해진 벽화

 
한밤중, 느닷없이 눈이 떠졌다
칠흑같은 어둠 속에 창 밖으로 하염없이 뻗어나가고 있는, 망망대해 같은 하늘이 보였다
기가 막혀 멍하게 그냥 바라 볼 수밖에 없었다. 참 속절없는 순간이었다. 그때 뭔가 반짝 빛나는 것이 보였다. 별이었다. 검은 비로오드 위에 놓인 다이아몬드 같이 반짝 빛이 부서지고 있는 별찰나, 그 곁으로 금속 광채가 어둠의 복판을 가로지르며 빠르게 지나갔다. 비행기였다.

끙 돌아누우며 나는 속말로 중얼거렸다. 삼라만상이 잠든 이 밤에도 별 곁을 지나 어디론가 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단 거지. 어젯밤 잠들기 전 가졌던 생각에 답을 주려고 별과 비행기가 내 잠을 지켜 보고 있었나 보았다.

과거 나는 학생들에게 입버릇처럼 꿈과 이상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던 순진한(?) 교사였다. 나쁘게 말하면 꿈을 팔아 먹은 장사꾼, 아니 꿈을 빙자해 그들의 미래를 사기친 사기꾼이었다. ‘꿈은 아름답지만 무자비합니다. 아무 것도 책임져 주지 않으니까요라고, 좌절을 느낀 과거의 어느 학생이 항변한다면 그에 대해 책임져 줄 말이 없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다. 애틋하지만 허망한 꿈.

그래서 어젯밤 잠들기 전 결심했었다. 꿈은 고만 팔아 먹자. 이젠 책임 있는 인간이 되어야지. 한데 별과 비행기가 불과 몇 시간 전의 다짐을 그만 허물어 버리고 말았다. 모두 잠든 밤, 저들은 왜 야간 비행을 감행해야만 하는가?

하긴 꿈이 없었다면 인류사가 다시 쓰여져야 했을 것이다. 전혜린은<먼 곳에의 그리움>이란 수필에서 말했다.

“ ~그것이 헛된 일임을 안다. 그러나 동경과 기대 없이 살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나는 새해가 올 때마다 기도 드린다.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게 해달라고. 어떤 엄청난 일, 나를 압도 시키는 일, 매혹하는 일, 한마디로 기적이 일어날 것을 나는 기대하고 있다. 허망한 일인 줄 알면서도. 올해도 마찬가지다. 먼 곳으로 훌훌 떠나 버리고 싶은 갈망. 나부끼는 머리를 하고. ~먼 곳에의 그리움(Fernweh). 내 영혼에 언제나 고여 있는 이 그리움의 샘을 올해는 몇 개월 아니, 몇 주일 동안만이라도 채우고 싶다. ~ 모든 플랜은 그것이 미래의 불확실한 신비에 속해 있을 때만 찬란한 것은 아닐까? ~동경의 지속 속에서 나는 내 생애의 연소를 보고 그 불길이 타오르는 순간만으로 메워진 삶을 내년에도 설계하고 싶다. ~아름다운 꿈을 꿀 수 있는 특권이야 말로 언제나 새해가 우리에게 주는 유일의 선물이 아닌가 한다.”

인간의 한계 앞에서 무릎 꿇은 이 젊은 여자의 소망은 꿈이었다. 한계를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이 꿈이기라도 하듯.

전혜린이 기억나자 또 하나의 젊은이, 아니 단발머리 소녀가 떠올랐다. 고교의 선배였던 그는 재학 중 <꿈으로 칠해진 벽화>라는 단편소설을 써서 우리를 놀래켰다. 그 작품의 마지막 대목을 나는 지금껏 기억하고 있다.

꿈은 아기 손에 쥐인 고무 풍선 같아요. ~꿈으로 가는 길은 고달파요. 하지만 간다는 자체는 즐거운 고행이에요.”

요렇게 깜찍했던 선배는 지금 어디서 무얼하고 있을까? ‘~시위처럼 바른 지조 쏜살같이 힘차게, 겨레의 소금 되세. 우리 XX여학교.’ 6년 간 부르던 학교 교가처럼 어디선가 지조를 지키며 세상의 소금이 되어 살아가고 있을까? 즐거운 고행도 잘 수행하고 있을까

그러고 보니 육체의 체액을 지켜 주는 물질은 소금이고, 영혼의 체액을 지켜 주는 활동은 꿈이다. 꿈이 없는 인간은 외틀어진 오이처럼 시들시들해 보인다. 생명 없는 벽화도 꿈이 칠해져 있을 때 생동감을 준다.

이 나이에 아직도 꿈 타령이냐고 누군가 힐난한다면 되묻고 싶다. 이 나이에 꿈을 갖는 게 왜 안되는 일이냐고. 꿈은 유통기한 없는 정신 활동이다

숨을 거두는 순간도 꿈을 잊지 않는 게 인간 아닌가. 종교를 막론하고 사후 복을 포기할 자 어디 있겠나. 그러므로 이제로부터 나는 새로운 꿈을 꾸기로 하겠다. 그것이 꿈과 소금이 아니라 빛과 소금이 되겠지만. 한계의 길 끝에서 기다리고 계시는 당신

하지만 나는 그 분 앞에 무릎 꿇어 의지하기에 매사가 아직 너무 서툴다. 꿈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은 욕심만 앞설 뿐. 여기까지 생각이 이르자 잠은 그만 하늘로 올라가 별이 돼 버리고 말았다. 아뿔싸!

**다양한 문학 작품을 감상하시려면 시애틀N <문학의 향기>코너로 아래를 클릭
[이 게시물은 시애틀N님에 의해 2013-10-07 14:02:01 헤드라인 뉴스에서 복사 됨]

 
 

Total 696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96 [수필]꿈으로 칠해진 벽화-공순해 시애틀N 2013-10-04 3310
95 김학인/진주조개의 눈물 시애틀N 2013-10-04 3544
94 서북미의 좋은 시/환상(이성호) 김영호 2013-09-29 3346
93 [이효경의 북리뷰]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 시애틀N 2013-09-29 3416
92 시애틀의 소나무 김영호 2013-09-22 3218
91 정동순/불어라 바짓바람! (1) 정동순 2013-09-22 3540
90 김학인/삶이 활력소, 유모 (2) 김학인 2013-09-21 3615
89 안문자/하늘은 하나인데 우리는 왜 둘? 안문자 2013-09-21 4995
88 공순해/구름꽃 피는 언덕 공순해 2013-09-21 3654
87 김윤선/텃밭에서 (1) 김윤선 2013-09-21 3661
86 김영호/섬의 사랑법 김영호 2013-09-20 3189
85 [이효경의 북리뷰] 김다은, 함정임의『작가들… 시애틀N 2013-09-15 3442
84 이경자/고목과 고목사이 (2) 김영호 2013-09-14 3814
83 섬머랜드의 들국화 (1) 김영호 2013-09-07 3270
82 최지연/사진 신부의 꿈 시애틀N 2013-09-05 3980
   41  42  43  44  45  46  47  



  About US I 사용자 이용 약관 I 개인 정보 보호 정책 I 광고 및 제휴 문의 I Contact Us

시애틀N

16825 48th Ave W #215 Lynnwood, WA 98037
TEL : 425-582-9795
Website : www.seattlen.com | E-mail : info@seattlen.com

COPYRIGHT © www.seattlen.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