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7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반기문-안철수 연대론, 현실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



安 "자당집권이 목표" 부정적…당내선 가능성 열어둬
전문가들 "현실성 낮아"vs"가능성 높아"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가에서 여러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분출하는 가운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 공동대표 간 연대론이 제기되며 실현 가능성이 있을지에 관심이 모인다.


야권 '전략통'으로 꼽히는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와 관련,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 대선 3파전이 전개될 경우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을 매개로 '반기문-안철수 연합'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반 총장이 새누리당의 최종 대선후보로 결정되고, 지지율상 대선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는 전제 하에서다.

이 경우 양측 연대를 통해 만약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권한이 대등한 '동거정부'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후 분권형 개헌을 추진하게 된다.

안 전 대표는 이 연대론에 대해 22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당이 집권하는 게 제 목표"라고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다만 국민의당 내 일부는 여권과 손잡을 가능성을 열어놨고, 안 전 대표는 앞서 '양극단을 제외한 합리적 개혁세력'과 힘을 합쳐야 한다며 일부 여권인사를 거론했다.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은 전날(21일) 한 라디오방송에서 안 전 대표의 여권주자설에 대해 "여권의 분화나 개헌을 통해 새 구도가 제시되면 그때 가서는 안 전 대표와 국민의당도 나홀로 주장은 하기 어렵지 않겠나"라며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봤다.

호남 한 중진 의원도 "반 총장이 '박근혜 대리인'으로 나오면 절대 손잡을 수 없다"면서도 "다른 길을 선택한다면 여러 가지를 충분히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여지를 뒀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당이 단독집권을 위해 노력한다는 입장이고, 반 총장이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현재 여권 후보로 분류되고 있어 지금 체제에선 사실상 연대는 불가능하다는 평가가 대체적이다.

이 의원도 "지금 여권으로는 전혀 가능성 없는 일"이라고 전제조건을 달았다. 김부겸 더민주 의원은 "안 전 대표에게 기대를 거는 분들이 (연대에) 동의할지를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신중론을 폈다.

정치전문가들의 의견도 갈렸다.

김철근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는 "현실성 없는 이야기"라며 "반 총장이 '자연인'이 됐을 때 여당 내 비박(비박근혜)과 야당의 집중포화, 언론검증을 넘어 대선후보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 자체에 회의적이고, 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정치인 출신이 아닌 대통령은 없었다"고 말했다.

또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당을 지지했던 호남과 관련, "호남은 호남주도 정권교체를 원하는데, (연대로) 국민의당 지지기반인 호남이 이반되면 그 이익은 더민주가 보게 되지 않겠나"라며 "역대 선거에서 여권이 분화됐던 적도 없다"고 일축했다.

반면 신율 명지대 교수는 "연대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명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 상태에서 여권 쪽으로 가기는 힘들겠지만, 친박-비박간 분열이 일어나면 야권에서는 그 틈으로 안 전 대표가 끼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는 개헌 가능성에 대해서도 "물 건너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내년 4월까진 시간이 있다"며 "손학규 더민주 전 고문이 지금 움직이는 이유도 개헌에 있을 것이고, 개헌을 빌미로 향후 친박-비박간 입장차가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11  512  5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