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7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사후피임약' 오남용 심각…중복처방 4년새 129% 급증



'한달에 1번' 권장량 어기면 생리불순 출혈 등 부작용



사후피임약을 한달에 2회 이상 처방한 건수가 4년 새 2배 이상 늘었다. 사후피임약은 고용량 호르몬 제제이므로, 한달에 2회 이상 복용하면 두통, 현기증, 생리불순, 자궁출혈 같은 호르몬 변화에 따른 이상징후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1개월 이내 사후피임약 중복 사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2년 2395건이었던 중복 처방건수가 지난해 5482건으로 129% 급증했다. 올 상반기 처방건수도 2468건에 달했다.

사후피임약은 종류에 따라 성관계 후 각각 72시간, 108시간 이내에 복용하면 임신을 피할 수 있다. 사전에 피임하지 못한 여성에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지만 오남용에 따른 안전성 우려로 반드시 의사처방을 받게 돼 있다. 

그런데 의사들도 사후피임약 처방을 원하는 사람이 중복 복용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중복처방이 계속 늘고 있는 실정이다. 처방건수가 많다 보면 중복처방도 비례적으로 많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중복처방이 가장 많은 연령은 20대로 전체의 50.2%에 달하는 2755건을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30대 1545건(28.1%), 40대 722건(13.1%)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인 10대의 사후피임약 중복처방 건수는 4년새 147%나 증가하는 등 심각해졌다. 2012년 170건이던 중복처방 건수는 지난해 420건으로 급증한 것이다.

전문의들은 사후피임약 중복처방에 따른 부작용을 막으려면 처방받기 전에 반드시 의사에게 복용이력을 알려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충훈 대한산부인과의사회장은 "환자의 이전 처방기록이 없다면 의사도 환자가 사후피임약을 얼마나 복용했는지 알 길이 없다"며 "환자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사후피임약 복용 이력을 의사에게 꼭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후피임약을 처방해주는 의사가 배란일을 파악해주는 것도 쉽지 않다. 이 회장은 "몇 개월 동안의 생리 시작일과 초음파 검사를 해야 하는데 환자들은 부끄럽거나 경제적 이유로 이런 과정을 거치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의사로서는 환자의 피임을 위해 약을 처방해주는 것 말고는 방도가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사후피임약은 고용량의 호르몬을 단기간 투입해 호르몬을 교란해 임신 전단계인 배란이 되지 못하게 방해한다. 또 이미 배란이 됐을 가능성을 고려해 정자와 난자의 핵이 합쳐져 만들어진 수랑란이 자궁에 착상하는 것까지도 막는다. 신체에 급격한 변화를 불러오기 때문에 그만큼 부작용 우려도 크다.

윤주희 대한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은 "사후피임약 권장량은 한달에 1번'이라며 "이 권장량을 넘기면 호르몬 교란이 급격하게 일어나 심혈관계 질환까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이어 "유방암이나 대장암 환자, 간이나 쓸개가 약한 사람은 사후피임약 사용이 금지돼 있을 만큼 신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복용 전에 반드시 산부인과 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11  512  5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