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7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당 안팎 '안철수 흔들기'에 安측 "부화뇌동 말아야"



潘-安연대론·野통합경선론 등 安겨냥 행보 이어져
安 "저만 안 초조한가봐요"…돌파기조 속 일부 불안감도



정치권에서 '야권 잠룡'인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 공동대표를 겨냥한 연대·통합론이 제기되며 안 전 대표 측의 대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개헌을 전제로 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안 전 대표 간 연대론, 더불어민주당과의 대선후보 통합경선론 등 안 전 대표가 포함된 시나리오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안 전 대표가 주장하는 '양극단을 제외한 합리적 개혁세력 규합'과는 결이 다른 목소리다.

민병두 더민주 의원은 최근 "반 총장은 외교·안보·통일대통령 역할에, 안 전 대표는 국무총리로 경제 등 국내정치에 집중하며 정치혁명의 주인공이란 명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반-안 연대'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에선 이상돈 의원이 최근 한 라디오방송에서 여권 분화나 개헌을 통해 새 구도가 제시될 경우 안 전 대표가 여권 주자로 나설 가능성을 제기했다.

여기에 더민주 원혜영 강창일 백재현, 국민의당 박주선 김동철 주승용 의원 등 6명은 지난 22일 오찬을 함께하며 야권 통합경선 및 권력구조 개편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일각에선 지난 총선에서 야권연대·통합을 주장한 김한길 전 의원과 가까운 인사들 행보에 따라 당내 또다시 '내홍'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안 전 대표 측은 이같은 논의의 배경엔 어떤 정치세력도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 따른 불안감이 표출된 것 아니겠냐고 보고 있다. 안 전 대표가 "다들 불안하신가봐요"라고 웃어넘기며 국민의당 집권이 목표라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한 측근은 통화에서 "우리 당에서 그런 주장에 부화뇌동하는 극소수의 사람이 있다면 설득하고 잠재워야 할 것"이라고 내부단속을 시사했다.

다만 이처럼 안 전 대표를 겨냥한 각종 주장이 지속될 경우 '국민의당 제3지대론'이 흔들릴 가능성을 배제하긴 어렵다. 여권은커녕 야권 내에서도 외연확장이 부진하다는 현실론을 들며 안 전 대표 측 일부는 불안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지난 대선캠프 때부터 함께한 한 관계자는 "여당에 내부 후보가 아닌 반 총장이라는 외부 후보밖에 없고, 반 총장 지지율도 외부 후보치곤 낮은 20%대 초중반이라 불안한 것"이라며 "M&A(인수합병)에 비유하면 합병해 시너지를 올릴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안 전 대표밖에 없어 그런 게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더민주도 (통합경선론에서) 거론되는 선수는 다 비문(비문재인)으로, 문재인 전 대표가 확장성 없다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그런 시도를 한다"며 "그 자체가 2차원적 정치공학으로 정치판을 보고 있어 국민이 관심없는 개헌이나 후보단일화를 고리로 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일축했다.

안 전 대표는 이같은 논의에 "저만 안 초조한 것 같다", "제 할 일을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왜 정치공학적이고 권력 나눠먹기식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 한심스럽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고 복수 관계자가 전했다.

다른 측근은 안 전 대표의 여권주자 가능성에 "일단 여당 분화가 안 될 거라는 시각이 훨씬 많고, 분화한다면 '얼굴'을 누구로 세울지도 동의가 안 됐지 않나"라며 "구체적 사람이 떠오르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예측되는 미래가 아니면 신경쓰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안 전 대표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내일의 박왕규 기획부소장은 "다들 어떻게든 안 전 대표를 끼워서 재편을 하려는 의도"라며 "기존 X축과 Y축만 있던 데서 국민의당이란 Z축이 생기며 '판'이 입체가 됐는데 기존 상식만 갖고 하는 주장은 옛날 얘기"라고 진단했다.

반면 안 전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현실론'을 들어 야권 통합경선론에 안 전 대표가 참여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안 전 대표가 기득권을 포기하고 경쟁에 나설 수 있다는 것까진 확실한데 반 총장, 문 전 대표와는 아닐 것"이라면서도 "여권 인사들이 당에 오려 하지 않으니 문제 아닌가. 여야를 나누기도 애매한 정운찬 전 총리조차 거리를 둔다"고 언급했다.

김종인 더민주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안 전 대표의 '3지대론'을 의식해 '비(非)패권지대'를, 정의화 전 의장이 '정상지대'를 주장한 것에는 안 전 대표 측에서 "자신들의 정치적 밸류를 높이기 위한 말장난"이라는 평가절하가 나왔다.

같은 측근은 "김 전 대표가 자신이 제1야당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또 문 전 대표 손을 잡아주지 않겠냐는 말도 나온다"며 "안 전 대표가 3지대론으로 대권경쟁에 초점을 맞춘다면, 김 전 대표는 개헌을 화두로 한 정계개편에 방점을 찍고 있어 단어는 비슷하나 생각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11  512  5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