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6일 (수)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美농무부 "北, 10년 뒤 식량 사정 아시아서 가장 저조"-RFA



<경기 파주시 오두산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 /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올해 北주민 10명 중 4명 권장량 섭취 못해"



미국 농무부는 10년 뒤 북한의 식량 사정이 아시아에서 가장 저조한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국 농무부는 '식량안보평가 2016' 보고서에서 북한 주민 10명 중 4명 꼴로 충분한 식량을 섭취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북한 주민 980만 명이 유엔의 권장량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으며 10년 후에도 790만 명의 북한 주민이 식량 부족 문제로 고통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곡물 필요량과 생산량의 격차인 식량부족분이 올해 약 39만톤에서 2026년 28만5000톤으로 줄지만 식량문제를 해결하기는 부족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북한 주민 한 명이 하루 평균 약 2100칼로리를 섭취하는데, 이는 아시아 평균인 2500칼로리보다 적으며 유엔 권장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관계자는 "식량안보평가보고서가 미국 정부의 해외 식량 원조를 결정하는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며 "전 세계의 굶주리는 76개국의 식량 상황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특히 10년 후에는 북한의 식량 사정이 전체 아시아 국가 중 최악으로 추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올해 북한을 비롯해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예맨 등 아시아 4개국이 전체 인구의 35~40%가 식량부족 상태라고 진단했다. 

미국 농림부의 조사 대상인 76개국 중 10년 후까지 전체 인구 30% 이상이 식량 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되는 나라는 북한을 비롯해 8개국이다. 

아시아에서는 북한이 유일하고 아메리카 대륙의 아이티와 아프리카 대륙의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리아, 차드, 부룬디 등이다. 

농무부의 경제연구소는 굶주리는 주민 수와 영양분 섭취량, 식량부족분 등 세 가지 기준으로 매년 국가별 식량 상황을 평가하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35  536  5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