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17일 (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맨부커상 수상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어떤 작품?



한국인 최초로 세계 3대문학상 중 하나인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의 작품 '채식주의자'는 시점과 시기가 다른 세 이야기가 연결되어 있는 연작소설이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불꽃' 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각각이 독립된 이야기로도 손색없다. '몽고반점'은 단독으로 2005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러면서도 세 편이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연결된다.

맨부커상 선정위원회는 16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미술관에서 열린 만찬 겸 시상식에서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올해 수상작으로 발표했다.

'채식주의자'는 미약한 존재와 난폭하고 어두운 세상과의 대결을 그리고 있다. 약한 존재가 대항하는 법은 식물(나무)이 되는 것. 한강은 나직하고 조근조근한 목소리로 이 환상적이고도 파격적인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어린 시절 자신의 다리를 문 개를 죽이는 장면이 뇌리에 박힌 여주인공이 어느날 꿈에 나타난 끔찍한 영상에 사로잡혀 육식을 멀리 하기 시작한다. 주인공의 아버지가 강제로 입에 고기를 넣으려 하자, 주인공이 그 자리에서 손목을 긋는다. 고요한 식물적 상상력과 시적 언어 속에 이같이 폭발할 것 같은 격정과 고통이 담겼다.  

소설가 한승원의 딸인 한강은 1994년 서울신문에 단편 '붉은 닻'이 당선되며 등단해 22년째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채식주의자'는 그가 한눈팔지 않고 천착해온 욕망, 식물성, 죽음 등 인간 본연의 문제들을 한 권에 집약해 놓았다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음은 '채식주의자' 중 인상깊은 부분들이다.

막을 수 없었을까. 두고두고 그녀는 의문했다.  그날 아버지의 손을 막을 수 없었을까. 영혜의 칼을 막을 수 없었을까. 남편이 피흘리는 영혜를 업고 병원까지 달려간 것을 막을 수 없었을까.  정신병원에서 돌아온 영혜를 제부가 냉정히 버린 것을 말릴 수 없었을까. 그리고 남편이 영혜에게 저지른 일을, 이제는 다시 기억하고 싶지 않은  일을, 값싼 추문이 되어버린 그 일을 돌이킬 수 없었을까. 그렇게 모든 것이-그녀를 둘러싼 모든 사람의 삶이 모래산처럼 허물어져버린 것을, 막을  수 없었을까.('나무 불꽃' 중에서)

내가 믿는 건 내 가슴뿐이야. 난 내 젖가슴이 좋아. 젖가슴으론 아무 것도 죽일  수 없으니까. 손도, 발도, 이빨과 세치 혀도, 시선마저도, 무엇이든 죽이고 해칠 수 있는 무기잖아. 하지만 가슴은 아니야. 이 둥근 가슴이  있는 한 난 괜찮아. 아직 괜찮은 거야. 그런데 왜 자꾸만 가슴이 여위는 거지. 이젠 더이상 둥글지도 않아. 왜지. 왜 나는 이렇게 말라가는  거지. 무엇을 찌르려고 이렇게 날카로워지는 거지.('채식주의자'중에서)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56  557  55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