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8일 (금)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영동대로에 잠실야구장 30배 '거대 지하도시' 건설



서울시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기본구상안' 발표
코엑스~삼성역~현대차GBC에 연면적 16만㎡의 역대 최대 지하공간 
통합철도역사·버스환승센터·도심공항터미널·상업시설 입주


서울 강남 코엑스~삼성역~현대차 비즈니스센터(GBC) 구간에 잠실야구장 30배에 달하는 대규모 지하도시가 건설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기본구상안을 2일 발표했다.

개발대상 구간은 지하철 2호선 삼성역~9호선 봉은사역 길이 630m, 폭 70m, 깊이 51m(지하 6층)로 연면적 16만㎡의 국내 지하공간개발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곳에 통합철도역사, 지하버스환승센터, 도심공항터미널, 주차장, 상업·문화시설이 들어선다.

철도는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KTX 동북부 연장,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A·C, 남부광역급행철도, 위례~신사선 등 삼성역을 지나는 6개 노선 역사가 통합건설된다. 

통합역사가 개통되면 서울역 하루평균 이용객 32만명의 1.3배 수준인 40만여명, 버스승객을 포함하면 58만여명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의 허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최초로 지하 최하층까지 열린 공간계획도 구상 중이다. 자연채광은 물론 통풍·환기가 가능한 자연친화적 실내공간을 만들 계획이다.

영동대로의 교통혼잡을 완화하고 버스·철도환승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지하 2층에는 버스환승센터를 설치한다. 영동대로와 테헤란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도 검토한다. 국제교류복합지구와 통합역사가 들어서면 영동대로를 지나는 시내·광역버스노선이 현재 47개에서 90여개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김포공항과 바로 이어지는 공항철도, 공항버스를 이용할 수있는 도심공항터미널도 코엑스에서 영동대로 지하로 옮길 예정이다.

주차장은 탄천변주차장 폐쇄와 주변지역 관광버스 주차 수요를 고려해 대형차 중심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상업문화시설은 코엑스몰과 현대차GBC 쇼핑몰이 지하로 연결되면 잠실야구장 30배 크기의 규모인 42만㎡에 이른다. 중소기업 홍보센터, 여행라운지, 한류체험관 등 다양한 시설로 주변 마이스(MICE) 시설과 시너지 효과를 노린다.


영동대로 기본구상 지상부 조감도(서울시 제공)© News1

서울시는 이달부터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가며 타당성 평가 등 행정절차를 진행, 연말 '광역복합환승센터' 지정까지 마무리지을 계획이다.

2017년 상반기 국제설계 공모로 기본·실시설계를 진행하고 2017년 12월 공사착공에 들어가 현대 GBC건물 준공이 예정된 2021년 말까지 삼성~동탄 광역철도 구간을 우선 개통한다.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총사업비는 국비 4105억원, 민자 2517억원 등 1조1691억원이다. 서울시는 5069억원을 부담하는데 현대차GBC에서 생기는 공공기여와 교통개선대책부담금을 투입해 재정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이번 개발은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공동 추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서울시가 총괄하면서 지하공간 전반 공사는 서울시가 맡고 삼성~동탄 등 광역철도 공사는 국토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맡는다. 관계기관 추진협의체는 서울시, 국토부, 강남구,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 현대자동차, 한국무역협회, 민자사업자 등으로 구성된다.

신용목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이 완료되면 우선 유동인구보다 교통인프라가 부족했던 서울 동남권에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영동대로 일대가 교통허브이자 국제적 명소로 조성되고 약 1만2000명의 일자리 창출과 연평균 2조50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62  563  56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