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8일 (금)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자살 1위 오명 벗을까…응급실 상담 후 재시도 사망률 절반



서비스 받은 사람의 자살 추정 사망률 3.7%, 그렇지 않은 사람은 7.5%


# 희귀병으로 시력을 점점 잃어가던 20대 남성 A씨(경기도 일산)는 자해를 해 응급실에 실려왔다. A씨는 잘못된 선택을 후회하고 병원에서 사례관리자 정영주 씨와 꾸준히 상담하고 점자교육과 보행훈련을 받았다. 퇴원 후 지역사회의 도움도 받았다. 시력은 더욱 나빠졌지만 보이지 않는 삶에 대한 준비는 차분히 해 나갈 수 있었다. 


응급실을 찾은 자살 시도자 중 병원에서 상담 서비스를 받은 경우 다시 자살을 시도해 사망하는 비율이 서비스를 받지 않는 사람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013년 8월부터 지난해까지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를 받은 사람의 자살 사망률은 3.7%로 그렇지 않은 사람의 7.5%에 비해 절반 수준이었다고 3일 밝혔다.

복지부는 전국 27개 병원에서 자살 시도로 병원에 실려온 환자를 월 4회 상담하고 퇴원 후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연계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인보다 자살 위험이 25배 이상 높은 자살 시도자의 자살 재시도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2013년 8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해당 응급실에 내원한 총 1만3643명의 자살 시도자 중 응급실에서 사망한 597명을 제외하고 서비스에 동의한 6159명(47.2%)에게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 결과 서비스를 받은 6159명 중 사망한 사람은 363명(5.9%)이고, 이중 손목 자상, 약물·가스중독, 질식 등 자살로 추정되는 사람은 228명이었다. 서비스를 받은 사람의 3.7% 수준이다. 

이 비율은 서비스를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절반 수준이다. 서비스를 받지 않은 사람 6887명 중 총 사망자는 1006명(14.6%)이었고 자살로 추정되는 사람은 517명으로 7.5%나 됐다. 

응급실을 기반으로 자살 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 성과가 확인된 만큼 복지부는 내년부터 해당 사업을 더 많은 의료기관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자살률은 10만 명당 28.7명꼴로 OECD 회원국 중 1위"라며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자살 재시도 위험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62  563  56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