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월 08일 (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40년 한국 인구절반이 52세 넘는다



[통계로 본 2015 한국사회] ① 인구와 가구


우리나라가 2040년에 이르면 전체 인구의 절반이상이 52세가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또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 5200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후 차츰 감소할 전망이다. 


23일 통계청이 공개한 '2015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062만명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증가세를 이어온 인구는 2030년 5216만명으로 정점에 도달 후 차츰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인구도 점차 늘어난다. 중위연령은 2000년에 이미 31.8세로 30세를 넘어섰고 2014년 40세, 2015년 40.8세를 나타냈다. 25년 후인 2040년에는 50세가 넘는 52.6세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연령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있는 사람의 나이를 의미한다.

출산율 저하와 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수명 연장으로 오는 206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762만2000명으로 2015년(662만4000명)보다 2.7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13.1%이며 2030년 24.3%, 2040년 32.3%, 2060년 40.1%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반대로 2060년에 이르면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2015년 3695만3000명에서 59.2% 줄어든 2186만5000명에 이를 전망이다. 2015년 704만명인 1~14세 유소년인구도 2060년에 이르면 447만3000명으로 63.5%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여성 100명당 남성 비율을 나타내는 성비는 2015년 100.0으로 남녀 인구가 각각 절반을 차지했다. 앞으로도 여성 인구가 계속 늘어 2060년까지 성비는 100.0을 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됐다. 

2014년 혼인건수는 30만6000건으로 1990년 이후 2005년까지 급감한 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최근 3년간은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혼건수는 11만6000건으로 1990년 이후 2005년까지 증가하다가 최근 10년 동안 현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만혼의 영향으로 2014년 기준 초혼연령은 남자 32.4세, 여자 29.8세로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황혼이혼이 증가하면서 이혼연령도 남자 46.5세, 여자 42.8세로 높아졌다. 

2014년 조사에서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6.8%로 2012년 62.7% 비해 줄었다. 이혼을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44.4%로 2012년 48.7%에 비해 감소한 반면,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12년 37.8%에 비해 늘어난 39.9%를 나타냈다. 결혼과 이혼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바뀌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2015년에 1.24를 기록했다.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2005년 1.08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뒤 약간의 반등세를 유지하다가 2012년 이후 다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첫째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연령은 2010년 30.1세로 30세를 넘긴 이후 계속 높아져 2015년에는 31.2세를 기록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77  578  57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