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7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이병기 "이완구완 달라…혐의 나오면 당장 그만둘 것"



국회 운영위 업무보고 '이병기 청문회' 방불…"검찰에서 필요하면 언제든 나갈 용의"

"독대도 여러번이지만 돈 결코 받지 않아…줬다면 죽기 전에 줬다고 했을 것"

"靑 '와병 브리핑' 잘한 것 아냐…후임총리, 청문회 통과할 분 고려"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1일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한 야당의 사퇴 요구에 대해 "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다는 것만 갖고 사퇴를 말씀드리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본다"며 "(검찰 수사에서) 혐의가 나온다면 당장이라도 그만둘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비서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청와대 업무보고에 출석,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성완종 리스트에 올라 사퇴했는데, 그렇게 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서영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질의에 "저는 자리에 연연하는 사람은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도 이렇게 답했다.

그는 "(성 전 회장으로부터 금품을) 전혀 받은 바 없다. 전혀 받지 않은 사람이 왜 내려가느냐"며 "저도 인간이다. 인간인데 리스트에 있는 이름 석자 갖고 제가 경거망동할 수는 없다. 제 자존심도 용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비서실장은 '혐의가 나온다면 그만두겠다'는 발언의 의미에 대해선 "조사 대상이 되는 것만으로는 (사퇴를) 못하겠지만, 만에 하나 잘못한 게 있다고 밝혀지면 당연히 그만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리스트에 올랐던 이완구 전 총리가 사퇴한 것을 고리로 야당 의원들이 사퇴를 압박하자, "이 전 총리와 저는 다르다"라며 "고인인 성 전 회장의 육성 녹음에 이 전 총리의 경우 3000만원이라는 액수가 나와 있지만, 전 안 나온 게 제일 큰 차이"라고 강조했다.

이 비서실장은 성 전 회장과의 인연에 대해 1985년에 민정당 대표 보좌역일 때부터 알아온 "꽤 오래 안 사이"라며 "오래 안 사이이기 때문에 저한테 여러 부탁해온 것도 있고 하지만 금전이 왔다 갔다 하는 그런 사이는 절대로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성 전 회장 휴대폰 착발신 기록에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140여 차례 통화를 한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선 "저는 오는 전화는 다 받는 사람"이라며 "아마 90% 이상이 성 전 회장이 제게 건 전화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비서실장은 "(성 전 회장과) 단독으로 만난 적도 여러 번 있다"면서도 거듭 돈을 받은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

그는 지난해 국정원장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성 전 회장과 만났던 것과 성 전 회장이 죽기 전 2~3차례 통화한 사실을 소개하며 "(성 전 회장이) '경남기업 수사와 관련해 자원외교 비리 같은 것은 없다. 억울하다'는 얘기를 저한테 했다"고 밝혔다.

이 비서실장은 성 전 회장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데 대해선 "제가 대통령 비서실장 자리까지 갔기 때문에 자기를 구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판단한 것 같은데, 제 반응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적으로 섭섭함 느껴서 그런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비서실장은 '죽기를 각오한 사람이 죽기 직전에 거짓말을 했겠느냐'는 김경협 새정치연합 의원의 지적엔 "저한테 돈을 줬다면 죽기 직전에 돈을 줬다는 얘기를 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비서실장은 리스트에 언급된 데 대한 박 대통령의 반응에 대해 "(박 대통령께서) '이름이 나왔는데 어떻게 된 것이냐'고 저한테 물으셨고, '금전 관계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간단한 답변을 드렸다"고 소개했다.

그는 '검찰 수사를 받을 용의가 있느냐'는 물음엔 과거 전직 대통령은 물론 현직 대통령의 자녀와 친형 등이 검찰 수사를 받았던 전례를 거론, "(현직) 비서실장이라고 해서 검찰에서 조사를 못한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검찰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얼마든지 나갈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검찰 수사의 공정성을 문제삼는 유대운 새정치연합 의원의 질문에는 "저는 검찰이 엄정한 수사를 하리고 본다"며 "현직 대통령의 자제분과 형님도 구속하는 검찰의 수사인데, 의문이 있다면 검찰에서 수사할 것이다. 수사를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이 비서실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4·29 재보선 전날 발표한 대국민메시지에서 성 전 회장의 특사 문제를 지적한 데 대해 "선거 직전에 사면 복권 문제가 아주 뜨거운 이슈와 현안이 돼 있었고, 국민들이 의혹을 가진 것 같기 때문에 대통령께서 발언한 것으로 제가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비서실장은 최근 청와대의 박근혜 대통령의 '와병 브리핑'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 "제가 봐도 구체적인 병명 등까지 나간 것은 썩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공감을 표하면서도 "그렇게 안 알려졌으면 그게 또 의혹이 됐을 것"이라고 옹호했다.

그는 후임 총리 인선과 관련해선 "대통령께서도 국민의 뜻이나 각계각층 의견을 들어서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분을 고려하고 있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나와 있는 것은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비서실장은 공무원연금 개혁 협상과 관련, "구체적인 협상 과정 내용까지는 인지하지 못하고 있지만 매일 80억원, 내년에 들어가서는 매일 100억원씩 적자가 나는 문제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져주시고, 시간이 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이번 임시국회 회기 내에 반드시 통과시켜 줬으면 하는 게 청와대의, 대통령의 뜻"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이 '2004년 대통령의 사면권을 제한하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했을 때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더라면 성 전 회장처럼 한 정권에서 두번이나 특별사면을 받는 불상사는 없지 않았겠느냐'고 묻자 "일부 수긍하는 부분이 있다"고 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685  686  68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