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8일 (금)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경찰 '차벽'·'무전'도 막지 못한 SNS 통한 '시민 소통'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1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대규모 추모제를 마친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을 비롯한 시민들이 광화문광장 분향소를 향해 추모행진을 하던 중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세월호 1주기 집회, 스마트폰·SNS 통해 시민들 차벽·우회로 정보 등 실시간 교환



시위도 '스마트'해지고 있다.


16일 서울 시내에서 열린 세월호 1주기 집회과정에서 경찰은 '골목 차벽' 등으로 주요도로나 돌발적인 행진예상로를 '불통(不通)' 시키려 노력했지만 시민들은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한 '소통'으로 경찰의 예상과 대응을 피해나갔다.

세월호 참사 1주기였던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과 중구 서울광장 일대에서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저녁 7시부터 서울광장에서 진행된 공식추모제 '약속의 밤'에는 경찰추산 시민 1만여명이 참석했다. 추모제에 참석한 시민들은 추모제가 끝난 뒤 저녁 8시부터 광화문광장으로 행진을 시작했다.

서울광장에서 출발해 프레스센터 앞 세종대로 전 차선을 이용해 광화문광장으로 행진하던 1만여명 시민들은 청계광장 교차로에 미리 배치돼 있던 50여대의 경찰버스 차벽에 가로막혔다.

일부 시민들은 분노와 원망섞인 눈빛으로 차벽과 경찰을 바라봤지만 한국대학생문화연대, 청년정치단체 '청년하다' 등 대학생 행진단은 다소 침착한 모습으로 경찰과 차벽 대신 시선을 스마트폰에 고정한 채 손을 바쁘게 움직였다.

이들은 각각의 행진대열 선두그룹이 속해 있는 SNS 채팅방에 서로 상황을 전파했다.

채팅방에선 "이쪽은 막혀 있으니 우회로를 찾아 을지로까지 이동하라", "비어있는 청계천으로 이동하자" 등 대화가 오갔다.

당시 채팅방에 속해 있었던 한 학생은 17일 통화에서 "행진하는 곳마다 경찰에 막혔을 때는 현재 상황을 알리고 빠른 판단으로 다음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차벽에 막혔을 때는 스마트폰 메신저를 통해 빠르게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서로 공유하며 행진했다"고 설명했다.

이 덕분에 행진단은 우회로를 찾아 광교와 장통교, 삼일교 등을 거쳐 종로1가를 우회해서 종각역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

행진에 참가한 다른 대학생은 "SNS를 통한 대화는 감청과 해킹에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해외 스마트폰 메신저 '텔레그램'을 사용했다"며 "메신저 대화를 주고받을 땐 보안에 신경썼고 전화를 이용하기도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1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대규모 추모제를 마친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을 비롯한 시민들이 광화문광장 분향소를 향해 추모행진을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또 각자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뒤 즉각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SNS를 통해 빠르게 전파하는 시민들도 있었다.

이들은 사진과 함께 "광화문 세종대왕상부터 광화문광장 북단까지 차벽 설치", "경복궁과 광화문광장 2겹 차단 중" 등 짧은 글로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했다.

현장에서는 스마트폰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해 광화문광장까지 가는 우회로를 검색하는 시민들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스마트폰과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은 시민들에 비해 '무전'을 통해 소통한 경찰들은 대응이 늦을 수밖에 없었다.

실제 현장에서는 행진단의 이동을 눈치채지 못한 경찰이 뒤늦게 허겁지겁 달려와 진입로를 통제하느라 애를 먹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무전은 한 사람이 키(버튼)를 잡고 있으면 한 사람만 말할 수 있는 일방통행식이고 텔레그램 등 SNS 채팅은 쌍방소통식"이라며 "요즘은 스마트폰 타자치는 속도도 빠르고 단축어나 사진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소통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집회·시위하는 입장에서는 표현하고 진격하는 게 주 목적이지만 경찰은 막아서는 입장이다보니 과도하게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도 인권침해 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시위자들에 맞서 경찰도 급하게 대응하다보면 서로 흥분해 우발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찰 입장에서는 적군과 싸우는 게 아니라 국민의 집회·시위를 보호하고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다른 시민들의 불편도 예방해야 하기 때문에 예상되는 주요 지점에 사전에 경력을 배치하는 게 최우선"이라며 "이후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땐 즉각적으로 반응하기 보다 규모·의미에 대해 판단한 뒤 유연하게 대응해 나가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691  692  69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