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26일 (수)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송재정 작가부터 이종석까지, 'W' 궁금증에 답하다(일문일답)



'W'의 궁금증에 제작진이 답했다. © News1star / 초록뱀미디어


상상력의 끝판왕, 예측불허의 전개로 시청자들을 설레게 했던 'W(더블유)'가 마지막 회를 앞두고 시청자들이 궁금해 할 부분들을 총정리해봤다. 'W'의 주역인 송재정 작가, 정대윤 감독, 이종석, 김의성, 제작진은 시청자들의 궁금증에 직접 대답했다

14일 밤 10시 방송을 끝으로 막을 내리는 MBC 수목드라마 'W'는 현실세계의 초짜 여의사 오연주(한효주 분)가 우연히 인기절정 '웹툰W'에 빨려 들어가 주인공 강철(이종석 분)을 만나면서 스펙터클한 사건들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는 드라마다. 무엇보다 웹툰세계와 현실세계를 오가는 주인공들의 움직임 속에서 실사와 만화를 오가는 시각의 마법은 시청자들을 새로운 매커니즘의 드라마로 친절하게 인도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1. 드라마 제목인 'W'의 의미는? 송재정 작가가 답했다

강철이 주인공인 웹툰의 제목이자 만화 속에서 강철이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주무대가 되는 방송국 채널 'W'를 뜻합니다. Why(왜)와 Who(누구)를 의미하고 살인사건의 범인과 그 이유를 밝혀내는 고발 프로그램 제목이기도 합니다.

드라마 상에서는 생략됐지만 설정상의 '웹툰W'는 7년 연재하는 동안 강철의 인생 자체가 주 이야기라기보다는 가족을 죽인 진범을 일생 쫓는 강철의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방송국을 배경으로 매 에피소드마다 어려운 강력범죄를 해결하는 강철과 친구들의 활약상이 주로 담겨있습니다

또 하나, W는 오연주의 입장에서 Wonder world(궁금증의 세계)를 의미합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처럼 갑자기 이상한 세계로 빠져들어간 연주의 시선에서 본 만화 속 세상을 뜻합니다.

2. 극 중 등장하는 '웹툰W'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제작진이 답했다

드라마 속의 웹툰은 원작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름이 알려진 작가에게 맡기지는 않고, 전문업체에 작화를 의뢰하여 작업을 했습니다. 3D를 2D로 바꾸는 작업이 쉽지는 않았지만 디테일 있게 작업하여 좋은 평가를 들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3. 실사와 만화를 오가는 작업, 진범의 얼굴을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제작진이 답했다

강철이 만화에서 현실 세계로 넘어가는 장면, 오성무의 얼굴이 없어지는 장면, 연주가 물속으로 갑자기 빨려가는 장면 등 'W'에서는 일반 드라마에서 볼 수 없는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이렇게 웹툰을 영상화 시키는 과정들은 CG(컴퓨터 그래픽)로 이뤄지는데, 섬세함과 시간을 많이 요구하는 작업들입니다


'W'에서 이 부분들은 '해를 품은 달', '최고의 사랑', '킬미 힐미' 등을 담당했던 MBC의 VFX(Visual FX, 시각적인 특수효과) 및 모션그래픽 팀이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 스무 명 남짓 되는 VFX 팀은 ‘W’의 작은 CG들에도 공을 들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출자인 정대윤 감독은 이번 10문10답을 통해 'CG팀이 화면 밖에서 밤낮으로 고생하고 있다'며, 이들이 큰 역할을 해주어 좋은 결과물을 보여주어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했습니다.

4. 진범은 누구인가요? 제작진이 답했다

웹툰 속 진범이 오성무(김의성 분)의 얼굴에 빙의 되기 전후의 날렵한 액션은 배우 김의성을 대신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볼드모트'라 불리며 오성무의 얼굴이 빙의 되기 전 항상 큰 키의 검은 후드만 쓰던 진범은 무술연기자 고상현 님이 맡았으며, 빙의 된 후 진범의 액션은 유시정 님이 맡아주셨습니다


김의성씨는 이번 10문10답을 통해 "나를 대신해서 뒤에서 멋진 연기를 보여준 고마운 분들"이라며 이들을 칭찬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큰 스포일러. 진범의 진짜 목소리는 놀랍게도 오성무, 즉 김의성 배우의 목소리를 변조한 것입니다.

5. 가장 멋있었던 장면은? 이종석이 답했다

14회의 "박수봉씨 물건 그리 갑니다" 신이 가장 멋있던 장면이었던 것 같아요. 현실세계에서 웹툰세계를 바꿀 수 있는 태블릿이 파괴됐고, 강철은 웹툰세계에 있는 태블릿을 찾기 위해 한철호(박원상 분)를 찾아갔었죠. 변수를 이용해 태블릿을 든 한철호를 현실세계로 보냈던 그 씬이 가장 멋있었던 것 같아요.

그야 말로 만화 주인공 같았던 장면이었고, 계산이 틀어져도 바로 계획을 바꾸고 오연주를 구하겠다는 처절한 의지도 보였던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 가장 멋있는 장면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6. 가장 소름 돋는 장면은? 김의성이 답했다

4회엔딩에서 강철이 최초로 자신이 웹툰 속 인물임을 자각 했을 때 세계가 멈추고, 현실세계로 나오는 문을 통과할 때 가장 소름 돋았던 것 같아요.

7. 궁극적으로 'W'를 통해 전달하고 싶었던 메시지는? 송재정 작가가 답했다

인간의 범주, 인류애의 범위를 어디까지 두느냐에 관한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첫 회에 호텔 옥상에서 죽어가는 강철을 발견했을 때 오성무는 살아있는 걸 눈으로 보면서도(실체) 가상의 그림으로 여겨(관념) 그를 칼로 찌릅니다. 만화 인물은 인간이 아니라고 본거죠. 오연주는 의사의 소명으로 강철을 살렸으며 그가 만화속 인물임을 알면서도 사랑에 빠지고 살리려고 노력합니다. 살아있기 때문에 그를 인간이라고 본 거구요. '로봇이 과연 인간이냐 인간성을 부여할 수 있느냐'하는 할리우드의 오래된 주제 중 하나를 가져와 만화 주인공으로 치환시켰습니다.

그 질문에 관한 저 나름의 결론은 마지막 회에 나오고요. 또한 가상 인물인 강철이 자신의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느냐 운명에 굴복하느냐도 중요한 문제고요. 존재의 한계조차 거부하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인물로 설정했고 그 의지의 가장 큰 바탕이 되는 것은 '사랑'과 '가족애'라고 생각합니다

8. 가장 공들인 장면, 최애신은? 정대윤 감독이 답했다

가장 공을 많이 들인 장면이자 최애신은 5회에서 강철과 오성무가 만나서 날을 세우다 강철이 총을 쏘는 신입니다. 강철이 창조주인 오성무와 처음 대면하는 신이라 굉장히 중요하고 임팩트가 있어야 했어요. 한 회의 1/3에 달하는 분량을 다소 사변적인 대사들로 그것도 고정된 공간에서 표현 해야 하다 보니 자칫 연극적인 신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김의성 선배의 폭발적 카리스마와 그에 당당히 맞대응하는 이종석 씨의 파워가 시퀀스 전체를 가득 채우면서 우려를 보기 좋게 불식시켰습니다. 정말 멋진 앙상블이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9. 당신이 생각하는 맥락 있는 엔딩은? 이종석이 답했다

해피엔딩은 사실 벌려 놓은 일이 많아서 어떤 게 맥락에 맞는 해피엔딩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것 또한 작가님의 몫이겠지요. 다만 저는 개인적으로는 새드엔딩을 선호하는 편이라, 맥락이 있는 새드엔딩이면 좋겠다 생각을 합니다. 맥락 있고 이치에 맞는 이별이야 말로 가슴 아프지만 이해 가고, 아리지만 여운이 오래 남는 드라마가 될테니까요. 사실 연주의 상상처럼 평범하고도 소소한 연애, 결혼, 그리고 가족으로 마무리가 되면 가장 이상적인 엔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10. 당신이 생각하는 맥락 있는 엔딩은? 김의성이 답했다

강철과 연주, 두 주인공이 현실세계에서 행복하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그리고 W세계와 그 속의 인물들도 평화롭게 지속되기를 바랍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17,434 RSS
List
<<  <  409  410  4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