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2025-06-18 (수)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작성일 : 15-05-20 13:37
둥지/울타리 치다
 글쓴이 : 임성수
조회 : 5,182  

울(타리,籬)은 漢字 우묵할 ‘요(凹)’의 모습처럼 밖이 아닌 속을 의미한다.

동물의 우리는 말뚝 안에서만 인정받는다.

움물, 움막, 움집은 바깥이 아닌 안의 개념으로만 그 뜻이 전달된다.

굼(穴)의 k 탈락으로 움물, 움막, 움집이 파생되었다. ‘움큼’은 한 줌이 된다.

담(墻)은 kVm의 tVm의 자음 교체로 파생된다. 일본어의 かき(垣·堵·墻·牆)가 우리말의 담에 해단된다. たま(玉)がき는 ‘신사의 울타리’로 해석된다. '우리'는 서로 '담' 쌓고 사는 일이 없어야겠다. 

신(履), ‘신다’와 같이 ‘담’, ‘담다(含容)’의 관계도 가능하다.

물을 많이 담아 두고 쓰는 큰 가마나 ‘독’은 ‘(물)두멍’이다.

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괴어 있는 곳은 ‘둠’이다.

‘둠벙’ 또한 못 따위의 작은 저수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둠ㄱ’은 탕약을 달이는 데 쓰는, 자루가 달린 놋그릇탕관이다.

 

딜 둠기 또한 됴하니라(陶盆亦可) <煮硝方諺解 19>

 

‘두멍, 둠ㄱ(둠기)’의 tVm은 tVng(둥)의 변이형을 갖는다.

 

둥글 원(圓)은 O 안을 가리킨다.

‘얼굴이 둥글고, 구름이 둥실둥실’은 원(圓)이다.

‘동희(동이,盆)’는 흔히 물 긷는 데 쓰는 것으로 보통 둥글다.

‘똥(糞)’은 음식을 먹고 난 후 모양이 다르게 나타난 동그란 덩어리이다.

뚱뚱/똥똥, 퉁퉁/통통, 둥둥/동동한 것은 동그란 모습의 결과이다.

‘동이’는 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동그랗게 묶는다는 동사 ‘동이다(絟)’을 파생시킨다.

 

둥지는 짐승이나 벌레들의 보금자리이다.

둥지는 짐승들 ‘우리’의 다른 말이다.

‘둥+울’의 예, '둥지와 우리'의 합성어 모습도 있다. ‘둥울’은 ‘둥주리/둥우리’로 변천된다.

 

둥울 우희(鴈翅板上) <杜詩諺解 上 26>

 

‘두먹/두멍, (목)구먹/(목)구멍’의 k/ng 처럼 ‘동이(盆)’은 ‘독(甕, 瓮)’의 이형태를 갖는다.

 



 
 

Total 98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 무겁다 시애틀N 2015-09-10 4992
67 은/는 이/가 을/를 와/과 임성수 2015-07-29 7316
66 돌멩이/돌막 임성수 2015-07-22 5177
65 천만에요 (1) 임성수 2015-07-15 5407
64 딸/아들 임성수 2015-07-02 5664
63 몸뚱이 임성수 2015-05-28 5310
62 점심밥들 처먹으시오 임성수 2015-05-20 5545
61 둥지/울타리 치다 임성수 2015-05-20 5184
60 가시덤불 임성수 2015-05-12 5358
59 움물(우물) 임성수 2015-04-30 5676
58 꼽추 임성수 2015-04-22 5166
57 산 봉오리 임성수 2015-04-14 6452
56 새줌마 임성수 2015-04-10 4383
55 차줌마 임성수 2015-04-02 4641
54 가랑이/다리 임성수 2015-04-01 5269
 1  2  3  4  5  6  7  




  About US I 사용자 이용 약관 I 개인 정보 보호 정책 I 광고 및 제휴 문의 I Contact Us

시애틀N

16825 48th Ave W #215 Lynnwood, WA 98037
TEL : 425-582-9795
Website : www.seattlen.com | E-mail : info@seattlen.com

COPYRIGHT © www.seattlen.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