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월 29일 (금)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예/아니요

말뿌리 조회 : 7,524

예/아니요’는 긍정, 부정을 아주 극명(克明)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어휘다.

‘이다’의 부정을 나타낼 때에는 체언의 술어(述語) 앞에 이(가)를 쓰고 ‘∼이(가) 아니다’로 끝을 맺는다.

부정문을 만드는 방법은 체언 부정, 술어 부정으로 크게 나누고, ‘안/못’, ‘말다’ 부정문이 대표적이다.

나는 수업 중에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학생들이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예/아니요’만을 대상으로 오늘의 주제 글로 삼고자 한다. 수업 두 시간을 ‘예/아니요’에 할애해도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지 않은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미 말뿌리 공부 49회(2015년 3월 16일)에 ‘이다/아니다’를 썼지만, 외국인 또는 기초 한국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어 도움 글을 쓰게 된 것이다.

 

‘이다’

우리가 흔히 반(半)말의 맺음형은 ‘-야’로 쓴다. 예) 나야, 엄마야, 학교야

‘-야’를 올림형으로 바꾸면 ‘-예요’가 된다. 예) 나(저)예요, 엄마예요, 학교예요

‘-예요’를 더 올리고 싶으면 ‘-세요’를 쓴다. 단 말하는 화자(話者)보다 상대적 우위에 있어야 한다. 예) 엄마(이)세요, 누구/여보(이)세요?, 선생님이세요

말뿌리 공부 82회(2017년 1월 30일)에 ‘이다/아니다’는 to be/not to be로 쓸 수 있음을 보였었다. 만약 ‘이 분이 엄마(이)세요?’라는 물음에 ‘예’라고 답변을 한다면 ‘-이세요’에 대한 답이 되는 것이다.

‘예’의 변이형은 ‘네, 녜’가 있다.

‘아니다’

우리가 흔히 반(半)말의 맺음형은 ‘-아니야’로 쓴다. 예) 나(가⟶이가)아니야, 엄마(가)아니야, 길동(가⟶이가)아니야

‘-아니야’를 올림형으로 바꾸면 ‘-아니예요’가 된다. 현 표준어는 '아니에요'로 되어 있지만, 나는 '아니예요'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야'의 올림말은 '에요/어요'보다는 '예요/세요'가 설득력이 있기 때문이다. 예) 나(저가⟶제가))아니예요, 엄마(가)아니예요, 길동(가⟶이가)아니예요.

‘-아니예요’를 더 올리고 싶으면 ‘-아니세요’를 쓴다. 단 말하는 화자(話者)보다 상대적 우위에 있어야 한다. 예) 엄마(이/가)아니세요, 선생님(이)아니세요

 

구어적인 상황에서는 ‘나예요⟶나요’, ‘아니예요⟶아니요⟶아뇨(‘아니오’라고 쓸 수 없음)로 짧게 쓰이기도 한다.

《표준어》제26 항에서는 '이에요/이어요'가 복수 표준어임을 명시하고 있다.

한국어 공부하는 사람들을 어렵게 하는 조항이다. 

아래의 (2)와 (4)는 언어 세력이 약한 현실성 없는 표현이다.

(1) 책+이에요 → 책이에요

(2) 책+이어요 → 책이어요

(3) 아니+에요 → 아니에요 → 아녜요

(4) 아니+어요 → 아니어요 → 아녀요




말뿌리 공부

분류
Total 90
List
 1  2  3  >  >>

© HHB Media LL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