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07일 (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습(ㅂ)니다

임성수 조회 : 4,702

-습(ㅂ)니다

 

17세기 捷解新語를 보면 ‘‘ㅅ  ⟶  △    ◯’, ‘   ㅡ ’의 변화는 ‘삷다(白)’의 ‘삽/습’이 ‘압/읍’으로 되는 과정을 읽게 된다.


귀한 禮物을 가춍이 읏듬으로 너기오니 그리아'압'소 <첩해신어 9,11>

재내네도 이제란 이가티 다 자'압'소 <첩해신어 3,10>   (' ' ㅏ는 ⦁의 표기입니다)

 

우리말에서 ‘-습니다’는 ‘-ㄴ(는)다’와 더불어 가장 적극적인 글말일치의 맺음형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타동사 어미로서 객체존칭, 즉 객체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겸양을 나타내었었다.

 

다 모다 길 길거니 <月印釋譜 21, 203>

王을 請하노이다 <月印釋譜 8, 58>

경전을 시러 듣고 <金剛經諺解 74> (밑줄 ㅏ는 ⦁의 표기입니다)

 

‘삽/잡’의 어음론적 변이형은 ‘삽/사옵/사오/사/오’에 의해 재편성된 -삽나이다/사옵니다/사오이다/사이다/옵나이다/오니다‘의 형태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후 17세기 들어와 문법적 자립성을 잃게 되면서 존대의 ‘-시’, 시제의 ‘-었/았’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삽(시,엿)나이다 ⟶ -(시,엿)삽나이다 ⟶ -(시었)습니다’의 역사적 과정을 밟게 된 것이다. 그리고 ‘하시었습니다’와 같이 ‘-시, 았/었’의 뒤로 오늘날 밀려나게 되었다.

청자를 존칭하던 ‘-이-’도 ‘-나-’와 어음론적인 결합을 거쳐 ‘나이 ⟶ ㄴ이 ⟶ 니’로 됨에 따라 결국 마침형 ‘-습(ㅂ)니다’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20세기 초 구한말 지역 신문이 등장하며 지금까지 써오던 구어체 ‘-해(라), -하사이다’의 언어생활이 통일된 ‘글말일치’가 되면서 ‘-습니다’ ‘-ㄴ(는)다’는 시대적 요청에 의해 자연스레 등장한 역사적 산물이 된 것이다.

 




말뿌리 공부

분류
Total 90
List
<<  <  7  8  9  >>

© HHB Media LL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