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월 28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샘이 깊은 물

임성수 조회 : 4,399

우리말 알(卵)은 일본어 あ(生)る와 관련이 깊다.

あら(現)われる(나타나다)는 あ(生)る의 어간 연장 활용형이다.

‘알’을 낳는 행위는 출현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nar-/nat-에서 n-탈락을 겪는다.

 

나흘 산(産) <訓蒙字會 上 33>

功이 하마 나타(功用旣著) <圓覺經諺解 序 24>

또 두 일홈 낟닷하니라(亦彰二號) <永嘉集諺解 下33>

죽곡 주그며 나곡 나(死死生生) <楞嚴經諺解 四 30>

聖子를 내시니이다(聖子誕兮) <龍飛御天歌 8>

 

‘낳다, 낱다, 나다’는 한 형제 말이며,

낟알(穀食), 나물(菜)의 파생어를 갖는다. 일본어 봄나물은 春菜(はるな), 유채꽃은なのはな(菜の花)라 하는데, na를 간직하고 있다.

梁柱東 박사의 古歌硏究에서 奈乙을 蘿井(三國遺事의 기록)이라 했는데, 井을 /얼/로, 奈乙을 /내얼/로 읽었다. 그리고 충남 지역에서 ‘泉水/井水’를 ‘얼’로 읽히고 있다고 밝히며, ‘여흘(灘)’의 /흘/도 같은 어원이라 설명하고 있다.

nar:ar은 같은 선상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날물(出水)’에서 고구려어와 일본어는 n- 탈락에 의해 ‘泉水/井水’를 ‘얼’, いずみ(泉)로 되어 있고, 신라어는 n-을 간직한 어형 奈乙/내얼/로 읽히고 있다.

현대어 샘(물)은 새다(漏)에서 시작됐다.

 

새미 기픈 므른(源遠之水) <龍飛御天歌 2>




말뿌리 공부

분류
Total 90
List
<<  <  4  5  6  >  >>

© HHB Media LL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