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25일 (목)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움물(우물)

임성수 조회 : 5,108

요(凹)

 

漢字 우묵할 ‘요(凹)’의 모양은 속에 구멍이 나 있다.

움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어 비바람이나 추위를 막아 겨울에 화초나 채소를 넣어 두는 곳이다. 속이 비어 있어야 한다.

움물(우물), 움막, 움집의 안은 비어 있다.

 

漆沮 가샛 흘 後聖이 니라시니(漆沮陶 後聖以矢) <龍飛御天歌 5>

 

‘움’은 굼(穴)의 k 탈락이다.

‘나무’의 ‘남ㄱ’과 같이 예전에 ‘구무(구멍)’은 ‘굼ㄱ’의 형태를 갖고 있다.

 

괴오호믄 당당이 버믜 굼긔 니엣도다(靜應連虎) <杜詩諺解 7;31>

 

궁둥이(kum- > kung-tungi)는 구멍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나무>낭구', '움덩이>웅덩이'도 ㅁ의 ㅇ 자음 교체이다.

 

‘움츠리다(縮)’는 굼지럭하는 움직임이 안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놀라면 움찔, 움씰거리다 옴짝달싹 못하게 움직임이 줄어든다.

움푹하게 파인 것은 속이 빈 것이고, 움쑥/우묵하게 쑥 들어간 것이다.

의태어 ‘옴팡/움팡’ 또한 속이 빈 것이다.

 

‘굴둑(굴뚝, 曲突)’은 ‘굴(穴)+둑’으로 분해된다.

‘언덕, 둔덕, 문턱, 다락’에서 보이는 ‘덕/턱/다락’은 모두 높다는 의미를 지닌다.

 

‘굴>굳’으로 음운 교체가 가능하다.

땅이 파인 것은 ‘구덩이’이다.

구들(忼)은 방 온돌 구들이며, 방이 고루고루 덥도록 만든 불구멍이다.

어떤 잘못된 어원에서는 ‘구들’은 ‘굳다(堅)’로 설명하려 하지만, 잘못은 잘못이다.  




말뿌리 공부

분류
Total 90
List
<<  1  2  3  >  >>

© HHB Media LL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