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
1. 동사는 동작, 상태의 과정을,
형용사는 성질이나 상태의 표시를 나타내기에 비과정적이다.
젊다 - 일시적 상태이므로 과정이 없다. 그러므로 형용사이다.
늙다 - 늙은(과거), 늙는(현재)을 보이므로 동사이다.
젊는다(X)
늙는다(O)
2. 형태론적 표시에 있어서 다음의 차이가 있다.
① ‘는’은 형용사에는 붙지 않으며,
‘ㄴ’ 은 동사에서는 과거를, 형용사에서는 현재를 나타낸다.
읽는 사람 (동사) - O
맑는 아침 (형용사) - X
② 어말어미에서 형용사 현재는 ‘-다’로, 동사의 현재는 ‘-ㄴ다/는다’로 나타낸다.
꽃이 아름답다 (형용사)
키가 큰다, 책을 읽는다 (동사)
③ 어말어미 '-라, -아라'는 동사에서는 시킴의 뜻을, 형용사에서는 모양의 뜻을 보인다.
많이 먹어라 (동사)
언제나 아름다워라 (형용사)
3. 동사는 알림, 물음, 시킴, 권유의 범주를, 형용사는 시킴과 권유를 보이지 않는다.
읽는다, 읽느냐, 읽어라, 읽자 (동사)
붉다, 붉으냐, 붉어라(X), 붉자(X) (형용사)
4. 마침형 어미와 연결형 어미의 표현이 약간 다르다.
동사는 ‘는구나, 는군, 는구려’가 형용사는 ‘구나, 군, 구려’가 붙는다
쓰는구나, 쓰는군, 쓰는구려 (동사)
희구나, 희군, 희구나 (형용사)
‘있다, 없다, 계시다’를 동사 또는 형용사로, 그리고 ‘이다/아니다’를 지정사로 보아야 하는가 하는 문법 범주 의문은 지금도 이어져 오고 있다.
동사와 형용사의 역사를 보면, 품사 이전에 말의 형성이 먼저이고 문법적 범주의 나뉨은 문법 기술가에 의해 인위적일 뿐임을 직시한다면, ‘있다’와 ‘계시다’는 동사적 특성이, ‘없다’는 형용사적 특성이 강하다.
‘끝없다-끝없이, 덧없다-덧없이, 하염없다-하염없이’의 관계처럼 ‘없다’ 동사는 형용사적 특성이 강하고, 있는 사람(돈 많은 사람), 집에 가만히 있어라(명령), 조용히 집에 있자(권유), 죄가 있느냐(의문)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동사적 특성이 있다. 그렇지만 완전한 동사적 특성을 지니지 못한 불완전 동사적 구실을 나타내므로 학자들은 여전히 ‘있다/없다’를 따로 떼어내어 설명을 덧붙이는 것을 잊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