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2025-06-18 (수)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작성일 : 14-11-17 11:11
아침과 낮
 글쓴이 : 말뿌리
조회 : 6,501  
① 아침
‘아기, 아지’는 작음을 의미한다.
‘아직, 아까, 아래’는 이른 시간을 말한다.
‘아침’은 밤과 낮의 하루 2중 구조에서 낮 이전의 작은 부분에 해당되는 시간을 말한다.
 
‘아기자기, 아리땁다, 아련(어린), 아들, 아우, 아이’는 작은 것들의 예다.
‘아찬설(1월1일 전날), 아득히, 아래께(오늘 이전)’은 어떠한 시기보다 이른 시간을 말한다. 그리고, 鷄林類事에 ‘旦曰阿慘’, 朝鮮館譯語에는 ‘早(일찍조)阿怎’는 또한 좋은 예가 된다.
참고로 삿기낫(小㫾午)는 몇 시에 해당될까? - 정오보다 이른 10시, 11시가 된다.
 
이 참에 꼭 공부하세요. (참; 기회, 시간을 뜻함)
이러한 예는 ‘새참, 밤참, 한참, 이참에 꼭 공부해’이 있고, 우리말에 ‘아침 먹어, 점심 먹어, 저녁 먹어’처럼 ‘시간+먹어’ 구조의 관용적 표현이 있다.
‘참’과 관련해서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 ‘즈음, 쯤, 짬을 내세요’을 알고 있으면 좋다.
 
② 낮
⌈날, 낮⌋은 모두 去聲으로 傍點이 하나다. 어원을 추적할 때는 방점까지 살펴보는 것은 기본이다.
 
나리 져므러 해 디거늘 (月印釋譜 8:93)
날이 저물어 해가 지는 광경은 낮이 끝나고 해(날)가 떨어지는 모양이다.
곧, 해가 머리를 내밀면 그것이 낮이 되는 형상이다.(日頭後㫾也) (老乞大諺解上59)
 
한 나절은 12 시간, 반나절은 6 시간이다. 낮 나절은 쓰이지 않지만, 아침나절, 저녁나절은 일상생활에서 쓰이고 있다.
 
옛말에 ‘나조ㅎ’는 저녁을 뜻한다. 한자로는 夕, 暮, 晩이 해당된다.
이 단어는 후에 ‘나중’으로 바뀐다. 이는 ‘따ㅎ→땅’의 예에 해당된다.


 
 

Total 98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 뉘우치다 임성수 2014-12-29 5282
22 석다/삭다 임성수 2014-12-29 5091
21 -들 임성수 2014-12-25 4036
20 술막 임성수 2014-12-24 4346
19 동사와 형용사 임성수 2014-12-18 6072
18 ⌈-ㅁ⌋, ⌈-기⌋ 임성수 2014-12-12 5059
17 ⌈-ㄴ⌋, ⌈-ㄹ⌋ 임성수 2014-12-09 4658
16 -하다/-되다 임성수 2014-12-06 5086
15 살 - 살다(배-배다, 신-신다) 임성수 2014-11-27 5694
14 덥다/춥다 임성수 2014-11-25 4665
13 물고기 이름 임성수 2014-11-25 4897
12 고유색 임성수 2014-11-25 5822
11 가르치다/가리키다 임성수 2014-11-25 5105
10 아침과 낮 말뿌리 2014-11-17 6503
9 오늘은 온종일이며, 내일의 순우리말은 할날 말뿌리 2014-11-10 6766
 1  2  3  4  5  6  7  




  About US I 사용자 이용 약관 I 개인 정보 보호 정책 I 광고 및 제휴 문의 I Contact Us

시애틀N

16825 48th Ave W #215 Lynnwood, WA 98037
TEL : 425-582-9795
Website : www.seattlen.com | E-mail : info@seattlen.com

COPYRIGHT © www.seattlen.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